[앵커]<br />중국에 유학 간 중학생이 기숙사 선배들에게 갈비뼈가 부러질 정도로 맞았다는 소식, 지난주 YTN이 단독 보도했는데요.<br /><br />피해 학생처럼 많은 한국 학생들이 국내 유학원을 통해 중국 유학길에 나서고 있지만 정작 이들 유학원을 관리·감독할 주체가 전혀 없다 보니 '예고된 사고'였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사건 추적 후, 변영건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황 모 씨는 지난 2010년 이제 막 초등학교 3학년이던 아들을 중국으로 유학 보냈습니다.<br /><br />한 해 체재비가 우리 돈 2천만 원에 달하지만, 학교생활까지 책임지고 관리해주겠다는 유학원의 말을 믿고 흔쾌히 허리띠를 졸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타지생활 6년째였던 아들은 학교 측의 무관심 속에 지옥 같은 나날을 보냈다고 털어놨습니다.<br /><br />[황 모 씨 / 학부모 : 우리 아들이 초등학교 3학년 때부터 형들한테 맞았다는 얘기는…. 왜 아빠한테 얘기 안 했느냐고 하니 아빠 걱정할까 봐 라고….]<br /><br />다른 유학생들의 경험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걱정 말라는 유학원들의 큰소리와 달리 막상 현지에 도착하면 사정은 딴판이었다고 증언합니다.<br /><br />[임 모 씨 / 중국 유학 경험자 : 공부는 할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주위에 아무것도 없었어요.]<br /><br />학생들은 대부분 중국 현지 학교와 계약을 맺은 국내 유학원을 통해 유학길에 나섭니다.<br /><br />현지 정보에 어둡다 보니 학교 등록은 물론 학교생활까지 유학원에 사실상 모든 걸 의지할 수밖에 없습니다.<br /><br />[임 모 씨 / 중국 유학 경험자 : (한국 학생을) 전담하는 선생님이 따로 계셨어요. 기숙사나 이런 관리가….]<br /><br />현재 운영되고 있는 유학원 수는 업계 추산 5백 곳이 넘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관리 감독 주체는 없습니다.<br /><br />별도의 허가 없이 사업자 등록만 하면 누구나 유학원을 열 수 있는 데다, 문제가 생겨도 제재할 수 있는 법적 근거마저 없습니다.<br /><br />유학원의 교육부 등록을 의무화하는 관련 법이 지난 2013년 발의됐지만 4년 넘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[양정아 / 유학원장 : 책임지지 못할 일을 했을 때 유학원 전체 이미지가 나빠지는 경향이 있어요. 그러면 부모님들이나 고객들이 유학원에 대한 선입견을 가지게 되고….]<br /><br />올해 기준으로 유학원을 통해 중국에 유학하고 있는 10대 한국 학생은 대략 3,500명.<br /><br />지금처럼 유학원이 사각지대에 있다면, 유학생들의 피해는 언제든 되풀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ln/0103_20170220050321666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